E.아시아경제 (이하 ‘회사’)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E.아시아경제는 아시아경제가 운영하는 서비스와 별개로 운영됩니다. 본 이용약관은 E.아시아경제 서비스에 한해 적용됩니다.
본 방침은 2023년 9월 15일부터 시행됩니다.
[제 1장 총칙]
제 1조(목적)
E아시아경제(이하 ‘회사’) 서비스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약관은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이하 ‘회원) 또는 비회원의 권리, 의무 및 책임 사항 등 서비스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항을 규정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제 2조(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 약관의 내용은 회원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회사가 제공하는 개별 서비스 또는 서비스 초기 화면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공지합니다.
② 회사는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관련법령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회사가 약관을 변경할 경우에는 개정약관의 적용일자와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약관과 함께 적용일자 7일 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제1항의 방식에 따라 공지합니다. 다만, 개정 내용이 회원에게 불리한 경우 최소한 적용일자 30일 전에 공지합니다.
③ 회사가 제2항에 따라 변경 약관을 공지 또는 통지하여 통지일로부터 개정약관 시행일 7일 후까지 회원이 약관 변경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아니하면 회원이 변경 약관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④ 회원은 변경된 약관 사항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제 3조(약관의 효력 및 개정)
① 이 약관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전기통신기본법,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관련 법령 또는 상관례에 따릅니다.
② 본 이용약관은 회사의 공식 서비스에 공통 적용됩니다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득이 본 약관 외 개별 서비스의 별도 약관, 운영 정책 등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 4 조 (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전기통신기본법,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관련 법령 또는 상관례에 따릅니다.
② 본 이용약관은 회사의 공식 서비스에 공통 적용됩니다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득이 본 약관 외 개별 서비스의 별도 약관, 운영 정책 등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 2장 서비스 이용 계약]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① 이용신청자가 본 약관을 읽고 ‘동의함’ 버튼을 누르거나 ‘확인’ 등에 체크하는 방법을 취한 경우 본 약관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② 이용계약은 이용신청자가 제1항과 같이 동의한 후 회사가 정한 신청양식을 작성해 서비스의 이용을 신청한 후 회사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체결됩니다. 다만 회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회원에게 별도의 서류를 제출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③ 제2항에 따른 신청에 있어 회사는 외부 제휴 업체를 통해 회원의 ‘본인인증’을 통해 본인 여부를 확인합니다.
④ 모든 회원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개인정보를 허위로 제공하거나 타인의 정보를 도용 또는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회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에 제한 또는 이용계약이 해지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관련 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⑤ 회사는 회원에 대하여 ‘청소년 보호법’ 등에 따른 등급 및 연령 준수를 위해 이용 제한이나 등급별 제한을 할 수 있습니다.
제 6 조 (이용신청의 승낙 및 유보, 거절)
① 회사는 가입신청자의 신청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② 회사는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ㆍ서비스 관련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ㆍ기술상 지장이 있는 경우
ㆍ본인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
ㆍ가입 조건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ㆍ기타 회사의 귀책사유로 이용승낙이 곤란한 경우
③ 회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승낙을 하지 않거나 사후에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ㆍ가입신청자가 만 14세미만인 경우
ㆍ타인의 명의를 이용한 경우
ㆍ허위의 정보를 기재하거나, 회사가 제시하는 내용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
ㆍ가입신청자가 이 약관에 의하여 이전에 회원자격을 상실한 적이 있는 경우, 단 회사의 회원 재가입 승낙을 얻은 경우에는 예외로 함
ㆍ사회의 안녕 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저해할 목적으로 신청한 경우
ㆍ부정한 용도 및 영리를 추구할 목적으로 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ㆍ기타 회사가 정한 이용신청 요건에 맞지 않을 경우’
[제 3 장 개인정보의 사용 및 보호]
제 7 조 (개인정보 보호 의무)
회사는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를 매우 중요시 하며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준수해야 할 국내의 개인정보 보호 법을 준수하고, 아울러 정보통신망을 건전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 및 회사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이 적용됩니다. 다만, 회사 이외의 링크된 사이트에서는 회사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회사는 이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해 노출된 정보에 대해서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제 8 조 (회원정보의 공유)
① 회사가 더 좋은 서비스를 위하여 타 업체와 제휴, 인수, 분사, 합병 시 회원의 정보는 공유될 수 있습니다.
② 각종 경품이 제공되는 이벤트의 경우, 경품 협찬사와 협의에 의해 당첨자 등록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제 9 조 (회원정보의 사용)
①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에 제공하는 회원추가정보(회원의 거래내역 등)를 관리용, 통계용의 정보로 사용합니다.
② 회원의 정보는 철저히 보안 유지될 것이나,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제휴를 통해 회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당사의 제반 마케팅 업무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③ 회사는 맞춤 서비스, 전자상거래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신용카드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회원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여러 분야의 전문 콘텐츠 사업자 혹은 비즈니스 사업자와 함께 파트너쉽을 맺어 회원의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는 위와 같이 회원이 파트너쉽을 맺은 협력업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원 가입시 입력 받은 개인정보로부터 이름이나 주소와 같은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제한된 범위의 개인정보를 협력업체가 이용하게 할 수 있습니다.
④ 회사는 서비스 운영상 또는 보안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회원의 정보 및 신상정보를 사전통지 없이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제 4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회사의 의무)
① 회사는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설비에 장애가 생기거나 멸실 된 때에는 지체 없이 이를 수리 복구하여야 합니다. 다만, 천재지변, 비상사태 또는 그 밖에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거나 중지할 수 있습니다.
② 회사는 회원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 유지ㆍ점검 또는 복구 등의 조치를 성실히 이행 합니다.
③ 회사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불만이 정당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이를 즉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 일정을 통보합니다.
④ 회사는 회원이 수신 동의를 하지 않은 영리목적의 광고성 전자우편, SMS 문자메시지 등을 발송하지 아니합니다.
⑤ 회사가 제3자와의 서비스 제공계약 등을 체결하여 회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회사는 각 개별서비스에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제3자에게 제공되는 회원의 구체적인 회원정보를 명시하고 회원의 개별적이고 명시적인 동의를 받은 후 동의 범위 내에서 해당 서비스의 제공 기간 동안에 한하여 회원의 개인정보를 제3자와 공유하는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합니다.
⑥ 회사는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알게 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본인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습니다. 단, 다음에 해당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예외로 규정합니다.
ㆍ이용자가 사전에 공개에 동의한 경우
ㆍ법령의 규정에 의거하거나 수사 목적으로 법령에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사기관의 요구가 있는 경우
ㆍ이용자 또는 그 법정 대리인이 의사표시를 할 수 없는 상태에 있거나 주소불명 등으로 사전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로서 명백히 이용자 또는 제3자의 급박한 생명, 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ㆍ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회원은 관계법령, 이 약관의 규정, 이용안내 및 주의사항 등 회사가 공지 또는 통지하는 사항을 준수해야 하며, 기타 회사의 업무에 방해되는 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② 회원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회사의 사전 승낙 없이 복사, 복제, 변경, 번역, 출판, 방송 및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타인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③ 회원은 사진을 포함한 이미지 사용시 피사체에 대한 초상권, 상표권, 특허권 및 기타 권리를 자신이 취득해야 하며 만일 이들 권리에 대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회원이 모든 책임을 부담해야 합니다.
④ 회사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에 의거하여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⑤ 회원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됩니다.
ㆍ회원가입 신청 또는 정보 변경 시 허위내용의 등록
ㆍ타인의 정보도용
ㆍ다른 회원의 ID및 개인정보를 수집, 저장하여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ㆍ회사의 저작권, 타인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ㆍ회사가 게시한 정보 변경
ㆍ회사의 운영진, 직원 또는 관계자를 사칭하는 행위
ㆍ회사 및 기타 제3자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ㆍ해킹 또는 컴퓨터바이러스를 유포하는 행위
ㆍ광고 또는 광고성 정보를 전송하거나 기타 영업을 위한 행위
ㆍ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에 지장을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일체의 행위
ㆍ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ㆍ회사의 동의 없이 영리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 행위
ㆍ본 약관을 포함하여 기타 회사가 정한 제반 규정 또는 이용 조건을 위반하는 행위
ㆍ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제 5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① 서비스 이용은 회사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회사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회사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 중단은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회사는 긴급한 시스템 점검, 증설 및 교체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예고 없이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로의 교체 등 회사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사유에 의하여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할 수 있습니다.
③ 회사는 국가비상사태, 정전,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할 경우, 서비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한하거나 중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사유 및 기간 등을 회원에게 사전 또는 사후에 공지합니다.
④ 회사는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경우 정기점검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정기점검시간은 서비스제공화면에 공지한 바에 따릅니다.
제 13 조 (서비스 내용)
① 회사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에 본 약관이 적용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득이 본 약관 외 개별 서비스의 별도 약관, 운영 정책 등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의 서비스 범주는 아래와 같습니다.
유ㆍ무료 컨텐츠 및 CP(제 3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회사에서 자체 개발하거나 다른 회사와의 협력 계약 등을 통해 회원들에게 제공할 일체의 서비스
기타 회사가 정한 부가 서비스 범주
② 해외 거주 회원이거나 인증 되지 않은 외국인인 경우에는 일부 부가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이용자 아이디 관리)
① 아이디(ID)와 비밀번호에 관한 모든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② 이용고객이 등록한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사용상의 과실 또는 제 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해당 이용고객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에는 이를 즉시 회사에 통지하고 회사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
④ 제3항의 경우에 해당 회원이 회사에 그 사실을 통지하지 않거나, 통지한 경우에도 회사의 안내에 따르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회사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 15 조 (게시물의 관리)
회사는 회원이 본 서비스를 통하여 게시, 게재, 전자메일 또는 달리 전송한 내용물에 대해 일체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지지 않으며, 다음의 경우에 해당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① 다른 회원 또는 제 3자에게 심한 모욕을 주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인 경우
②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에 지장을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경우
③ 회사의 지적재산권, 타인의 지적재산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④ 회사에서 규정한 게시물 원칙에 어긋나거나, 게시판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⑤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 시키는 경우
⑥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일 경우
⑦ 선정적인 음란물을 게재하거나 음란사이트를 링크한 경우
⑧ 범죄와 결부된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내용일 경우
⑨ 기타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16 조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① 서비스에 대한 저작권 및 지적재산권은 회사에 귀속됩니다. 단, 회원의 게시물 및 제휴계약에 따라 제공된 저작물 등은 제외합니다.
② 회원이 서비스 내에 게시하는 게시물은 검색결과 내지 서비스 및 관련 프로모션 등에 노출될 수 있으며, 해당 노출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게시될 수 있습니다.
③ 회원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정보를 임의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④ 회사는 회원이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서비스 내의 내용물, 게시 내용에 대해 본 조 각 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삭제하거나 이동 또는 등록 거부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정보의 제공)
①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 중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다양한 정보를 공지사항이나 전자우편 등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단, 회원이 전자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을 경우 가입신청 메뉴와 회원정보수정 메뉴에서 정보수신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
② 회사는 서비스 개선 및 회원 대상의 서비스 소개 등의 목적으로 회원의 동의 하에 추가적인 개인 정보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제 18 조 (광고게재 및 광고주와의 거래)
본 사이트에는 회사 이외의 광고주의 판촉활동을 위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본 사이트에 게재되어 있거나 본 서비스를 통한 광고주의 판촉활동에 회원이 참여하여 거래한 결과로서 발생하는 모든 손실과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제 6 장 계약해지 및 이용제한]
제 19조 (이용계약의 해지)
①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할 경우 회원 본인이 온라인 또는 기타 방법을 통하여 회사에 해지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② 회원이 계약 해지할 경우 관련법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회사가 회원정보를 보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지 즉시 회원의 모든 데이터는 소멸됩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공용 게시판 또는 제3자의 게시물에 등록한 댓글과 다른 회원이 별도로 스크랩한 이용자의 게시물은 삭제되지 않으므로 해지 신청 이전에 삭제하신 후 해지하시기 바랍니다.
③ 회원이 ‘제11조 회원의 의무’의 규정을 위반한 경우 회사는 일방적으로 본 계약을 해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서비스 운영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민ㆍ형사상 책임도 물을 수 있습니다.
제 20조 (유료 서비스 환불)
① 회사의 귀책 사유로 인하여 정상적인 유료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였을 경우, 회사는 결제된 비용을 전액 환불 처리 합니다.
② 회사와 제3자간의 서비스 이용 계약이 계약기간 만료, 계약 해지 등의 사유로 종료됨에 따라 –회사가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게 된 경우 결제된 비용을 전액 환불 처리 합니다. 단, 회사는 아래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환불 처리할 수 없습니다.
③ 환불 절차는 다음 각호와 같습니다. 환불을 원하는 고객은 유료 서비스를 결제한 후 영업일 기준 3일 이내에 회사로 연락하여 환불을 신청해야 합니다.
제 21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회원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습니다.
② 회사는 회원이 본 약관의 의무를 위반하거나 서비스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한 경우, 경고, 일시정지, 영구이용정지 등으로 서비스 이용을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제 7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22 조 (손해배상)
회사는 서비스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정책에서 정하는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는 어떠한 손해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제 23 조 (면책조항)
① 회사는 천재지변 또는 이에 준하는 불가항력으로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에 관한 책임이 면제됩니다.
② 회사는 회원의 귀책사유로 인한 서비스 이용의 장애에 대하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③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와 관련하여 게재한 정보, 자료, 사실의 신뢰도, 정확성 등의 내용에 관하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④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대하는 수익을 얻지 못하거나 상실한 것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⑤ 회사는 회원간 또는 회원과 제3자 상호간에 서비스를 매개로 하여 거래 등을 한 경우에는 책임이 면제됩니다.
⑥ 회사는 회원의 이 약관상에 정하여진 의무 위반으로 인하여 회원 및 제3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24 조 (통지)
① 회사가 회원에 대하여 통지를 하는 경우 회원이 회사에 등록한 전자우편 주소로 할 수 있습니다.
② 회사는 불특정다수 회원에게 통지를 해야 할 경우 공지 게시판을 통해 7일 이상 게시함으로써 개별 통지에 갈음할 수 있습니다.
제 25 조 (재판권 및 준거법)
①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계법령과 상관례에 따릅니다.
② 회사의 기타 유료 서비스 이용 회원의 경우 회사가 별도로 정한 약관 및 정책에 따릅니다.
③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회사의 본사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을 관할 법원으로 합니다.
<부칙>
본 약관은 이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회사가 운영하는 홈페이지 첫 화면에 공개하고 있으며 관련 법령 및 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에 따라 내용의 추가, 수정 및 삭제가 있을 경우 개정 최소 7일 전에 홈페이지를 통해 고지할 것입니다.
공고일자: 2023년 9월 8일
시행일자: 2022년 9월 15일
교과목명
세부내용
훈련시간
디지털 환경구축
파이썬 개요 및 개발환경 구축
데이터 관리 기술에 대한 이해
RDBMS 설치 및 연동
형상관리 및 분석 플랫폼에 대한 이해
(Colab – Storage – Git 연동)
12 시간
프로그래밍 기초
파이썬 프로그래밍 로드맵
파이썬 기초 문법 – 조건문/반복문 이해 및 실습
– 함수, 모듈, 클래스 이해 및 실습
– 컬렉션 데이터 타입 (list, tupl, dict)
– Pandas/Numpy 파일 핸들 실습 및 라이브러리 활용
스크립트 기초문법
– Script, jQuery 이해 및 실습
– JSON을 활용한 비동기 통신구조 이해
– Open API를 활용한 REST 서비스 구현
데이터베이스 & SQL 활용
– Oracle 연동
– SQL 활용
– MariaDB, RDBMS 운용
데이터 수집 기술(크롤링)에 대한 이해
– Beautiful Soup, Restful API, Sellenium
– 정규표현식 실습 및 라이브러리 활용
160 시간
빅데이터 통계
통계학 기초
확률변수와 분포, 변수 분석 및 응용
데이터 전처리 및 검증 연동 – 분류/회귀/연관 분석 통계 시각화
24 시간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머신러닝 With Sklearn, Tensor Flow, Keras
–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개요
– 회귀, 분류, 군집 분석 모델링 실습
– 파라미터 모델 시각화 구현
– 분류 예측 알고리즘
– 평가지표 / 모델최적화 / 튜닝 실습
– 머신러닝 모델/학습 / 검증 / 최적화 실습
56 시간
파이썬-파워BI 빅데이터 시각화 모델링
프로젝트 요구사항 분석
파워 BI 기술구현
Smart 비즈니스 BI 모델링 기획
팀별 주제에 맞는 이슈, 데이터 조사
과제 정의, 성능 목표 설정 및 선정
데이터 유형에 따른 수집방법 탐색
문서 분류, 군집, 메타데이터 추출
해당 주제와 유형에 맞는 특정 데이터 추출 및 선정
( Colab, Anaconda3, Beautiful Soup, Restful API, Selenium 활용)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 수행
Train Data 모델링 수행, 정확도 재확인 및 피드백
(Classification Model 설계)
데이터 변환 및 연동 프로그래밍 활용
(GIT HUB, 테스트 스위트, 샘플코드 룰 구현)
팀별 비즈니스 데이터 BI 보고서 디자인 설계 및 작성
파워 BI 구현 모델 결과 리뷰
80 시간
웹 서비스 기획 / 구현
빅데이터 서비스 모델링 프로세스 구축
– 소비자 시장환경 및 패턴, 카테고리 분석
– 웹 서비스 분석 모델 시각화
– Rest 기반 동적 데이터 연동 바인딩
디지털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 모델링
– Google for Retail 서비스 분석 Tool 활용
– 개인화 맞춤형 웹 서비스 커스터마이징
Python 웹 프레임워크 개요
Flask & Django 프레임워크
부트스트랩 컴포넌트 활용 웹페이지 기획
빅데이터 기반 웹 프로그래밍 응용
56 시간
[ 실무 프로젝트 ]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 실습 연동
Flask & Django 활용 서비스 기획
프로젝트 팀빌딩 / 역할 (FE/BE) 정의
참여기업 산업, 직무별 프로젝트 제시/매칭
프로젝트 방법론, 프로젝트 절차 및 역할 로드맵 제시
팀별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산업융합 기술 서비스 카테고리 구성
시장환경분석 및 전략 타겟 & 포커싱
비즈니스 인사이트 모델링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 / 데이터수집 / 전처리 / 분석 / 훈련용 모델링 / 최적화 실습
프로그래밍, 데이터엔진,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
빅데이터 웹 서비스 데이터 튜닝
168 시간
[ Demo Day ]
프로젝트 발표회
팀별 프로젝트 발표회
8 시간
[ 산업 특강 ]
기업 실무자&전문가 직무/채용 특강
프로젝트 기획 및 작성
디지털 포트폴리오 제작
정규 시수 외
[ 취업지원 ]
취업 특강, 이력서 클리닉
면접 특강
실무능력에 필요한 빅데이터 분석, 모델링 기술 코칭
정규 시수 외
※ 상기 프로그램은 교육센터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교과목명
세부내용
훈련시간
디지털 환경구축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개요 및 개발환경 구축
데이터 관리 기술에 대한 이해
RDBMS 설치 및 연동
기타 프로그래밍 환경구축
4 시간
프로그래밍 기초
파이썬 프로그래밍 로드맵
파이썬 기초 문법 – 조건문/반복문 이해 및 실습
– 함수, 모듈, 클래스 이해 및 실습
– 컬렉션 데이터 타입(list, tupl, dict)
– Pandas/Numpy 파일 핸들 실습 및 라이브러리 활용
스크립트 기초문법
– Script, jQuery 이해 및 실습
– JSON을 활용한 비동기 통신구조 이해
– Open API를 활용한 REST 서비스 구현
데이터베이스 & SQL 활용
– Oracle 연동
– SQL 활용
데이터 수집 기술에 대한 이해
– Beautiful Soup, Restful
144 시간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
프로젝트 요구사항 분석
비정형 데이터의 이해 (Text / Web / Opinion)
팀별 주제에 맞는 이슈, 시장데이터 조사
과제 정의, 성능 목표설정, 결과목표 선정
데이터 유형에 따른 수집 방법 탐색
문서 분류, 군집, 메타데이터 추출 방법정의
해당 주제와 유형에 맞는 특정 데이터 추출, 선정
(Colab, Anaconda3, Beautiful Soup, Restful API, Selenium 활용)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 수행
Train Data 모델링 수행, 정확도 재확인 및 피드백
(Classification Model 설계)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 보고서 디자인 설계 및 작성
48 시간
산업 모델 기반
데이터 수집, 분석 실습
빅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머신러닝 With Sklearn
–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개요
– 회귀, 분류, 군집 분석 모델
– 평가지표 / 모델최적화 / 튜닝
딥러닝 With Keras
– 퍼셉트론 / 신경망 / CNN / RNN
– 딥러닝 모델링 / 학습 / 검증 / 최적화 실습
160 시간
산업융합
데이터 분석 모델링
(1)
산업융합 분석 모델링 프로세스
– 마케팅산업 빅데이터 분석
– 금융산업 빅데이터 분석
– 소비자 시장환경 및 패턴 분석
디지털 산업 빅데이터 분석 및 통계 활용
– 소셜 미디어, 뉴스 분석
– 산업융합 개인화 추천 포트폴리오 분석
56 시간
산업융합
데이터 분석 모델링
(2)
산업별 빅데이터 모델링 요구사항 분석
산업융합 분석 모델링 프로세스 구축
산업 시장환경 및 패턴 분석
키워드별 이슈 트렌드 분석 및 UI 기획 시각화
( 워드 크라우드 패키지 분석)
SQL, SKlearn, Keras 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활용 및 개발
데이터 분석 기반 전처리 및 모델링 구축
( Stopword 리스트 작성, 텍스트 분류 )
유저 인터페이스(UI) 제작
( QT Designer 위젯 디자인, 코드연결)
모델링 학습 / 검증 / 최적화 실습 진행
56 시간
분석 모델 서비스
UI 구현
프로젝트 방법론, 프로젝트 절차 및 역할
Python 웹 프레임워크 개요
Flask vs Django 프레임워크
UX/UI 개요 및 템플릿 활용
데이터베이스 활용
웹 프로그래밍 활용
148 시간
[ FInal 프로젝트 ]
현업 상용화 중심 프로젝트 개요 및 요구 사항 분석, 기획
참여기업 산업체 특강 진행, 프로젝트 실무 사례 소개
프로젝트 팀 빌딩 / 역할 (FE/BE)
참여기업 산업, 직무별 프로젝트 제시/매칭
프로젝트 방법론, 프로젝트 절차 및 역할 로드맵 제시
팀별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산업융합 비즈니스 서비스 카테고리 구성
시장 환경분석 및 전략 타겟팅 & 포커싱
데이터베이스 설계 / 데이터 수집 / 전처리 / 분석 / 서비스 모델링 / 최적화 실습
프로그래밍, 데이터엔진, 라이브러리 활용
(Python, Django, Flask Framework)
UX/UI 템플릿 활용, 인터페이스 구성, 웹 서비스 화면기반 데이터 튜닝
프로젝트 상용화 모델링 구축 및 리뷰
기업 실무형 클라우드(AWS, Goole) 플랫폼 활용 서비스 배포 실습
생성형 AI (chat GPT) 활용 서비스 및 앱 구현
서비스 시연 영상 촬영 및 최종 리허설
264 시간
[ 취업지원 ]
맞춤형 취업 컨설팅-상담(온·오프라인)
이력서 클리닉 및 면접 특강
기업 코딩테스트 대비 알고리즘 트레이닝
실무 빅데이터 분석, 모델링 기술 코칭
디지털 포트폴리오 제작
4시간 (개인별)
[ Demo Day ]
프로젝트 발표회
팀별 프로젝트 발표회
심사위원(현직 임직원) 평가 및 시상
8 시간
[ 산업 특강 ]
대기업 및 빅테크 기업 실무자 및 인사담당자 직무/채용 특강
개인 이력관리 & 기업 맞춤형 포트폴리오 제작 위한 Github 사용 특강
8 시간
※ 상기 프로그램은 교육센터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교과목명
세부내용
훈련시간
디지털 금융 기초
디지털핵심실무인재양성사업 소개 및 커리어 비전제시
금융업(은행, 보험, 증권, 카드)별 업무의 이해
인공지능과 금융
디지털 금융사례(핀테크)
28 시간
프로그래밍 기초
웹크롤러 개요 및 개발 실습
– 웹크롤링 Beautiful soap lib 사용 실습
– 웹크롤링 정규표현식 적용 실습
– Restful API 개요 및 개발 실습
– Restful API 개발 및 테스트 실습
데이터베이스 개념 및 설치 데이터 모델
– 데이터 관리 및 검색
파이썬 개발환경, 주피터 노트북 개발환경
파이썬 개요
– 파이썬 수식 계산
– 선택과 반복 파이썬 함수
– 모듈/패키지 파이쎤 파일 읽고쓰기
– 정규표현식 파이썬 인터넷 정보 활용
수집 대상 선정 및 기획
– 수집 데이터 설계
– 데이터 수집
– 프로젝트 결과 시각화
152 시간
머신러닝/딥러닝 이론 및 실습
실무에서 사용하는 핵심 머신러닝 모델 학습
– Support Vector Machine, Clustering 실습
– 딥러닝 최신동향 및 핵심 개념정리
– 오픈소스 활용한 딥러닝 실습
사용자 리뷰 분석 관련 논문 리뷰
– 사용자 리뷰 활용 소비자 분석 프로세스 설계
– 사용자 리뷰데이터 수집 분석 모델링 결과 시각화
머신러닝 최신동향 및 핵심 개념 정리
– 머신러닝을 위한 파이썬 핵심 기능 정리
– 머신러닝의 핵심기술
– Neural Networks 원리 이해 및 파이썬 실습
120 시간
추천시스템 이론 및 실습
추천시스템 개요
추천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마이닝
– 데이터 전처리
– 클러스터링 분석
– 의사결정나무
– 협업 필터링 추천시스템
– 콘텐츠 기반 추천시스템
– 지식기반 추천 시스템
– 하이브리드 시스템
추천시스템 평가
영화 컨텐츠 추천 실습
– 영화 데이터베이스 분석
– 장르 컨텐츠 유사도 측정
– 장르 콘텐츠 필터링 이용 영화추천
추천시스템 이론 및 실습
추천시스템 관련 논문 리뷰
추천시스템활용 보험상품 추천 프로세스 설계
– 보험상품 데이터 수집 분석
– 모델링 결과 시각화
120 시간
핀테크 데이터분석 이론 및 실습
로보어드바이저 이론 및 실습
– 금융데이터와 머신러닝
– 금융데이터 수집과 통계적 분석
– 시계열데이터 분석 및 주가 시뮬레이션
– 금융 모델링 (마켓 Feature 측정, 포트폴리오 최적화 등)
– 최적자산배분 관련 논문 리뷰 시장데이터(주가, 금리 등) 수집 분석 모델링 결과 시각화
딥러닝 모델 (Deep Q-Network : DQN), Keras DQN 구현 강화학습
– 알고리즘 트레이딩 개요
– 머신러닝 모델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 구현
– 성능평가와 최적화
금융데이터와 머신러닝 금융데이터 수집과 통계적 분석
시계열데이터 분석 및 주가 시뮬레이션 금융 모델링
– 마켓 Feature 측정
– 포트폴리오 최적화
160 시간
[프로젝트]
실무프로젝트 실습
EDA
– 기본 통계확인
– 데이터 분포확인 -변수간 관계 확인
빅데이터 분석 모델링
– 분석 환경 구축
– 분석 모델 논문 검토
– 분석 모델 구현 및 검증
– 분석 모델 튜닝
프로젝트 기획 리뷰 및 재정의 시각화
– 레이아웃 구성 및 시각화 유형 선정
– 분석결과 시각화 레이아웃 구현
분석 모델 수정 및 보완
– 결과데이터 검증 및 분석 모델 수정보완 분석결과 리뷰
– 분석결과 팀내 리뷰. 보완점 및 시사점 도출
현직 멘토 취업 특강 진행(직무특강 및 현업 핵심기술요소, 비전제시)
– IT/SW 관계사 대상 구인기업 초청 평가 진행
– 프로젝트 데모데이 발표진행
– 실무자멘토, 평가위원 참석
– 훈련생 현장면접 취업코칭 진행(이력서 사전클리닉 보완 및 면접요령)
– 프로젝트 팀별 현장면접 진행(4~5명씩)
– 심사위원별 심사평가표를 거쳐 점수 산정
– 협약기업(육성기업) 추천채용 프로세스 안내
– 수료 후 전반적인 사후관리 사항 안내
파일럿 프로젝트 개요 이해
– 프로젝트 주제 선정하기
– 비즈니스 이슈파악하기
– 프로젝트 목표 설정하기
프로젝트 결과 정의하기
– 데이터 분석 모델 논문 탐색
– 데이터 분석 모델 설정
–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데이터 수집 대상 시장조사 및 유형 분류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전처리 및 적재
– 적재 데이터 검증
320 시간
※ 상기 프로그램은 교육센터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약력
수협은행 은행장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금융담당 부대표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상임이사
수협은행 마케팅부행장
수협은행 강남지역금융본부 본부장
수협은행 강북지역금융본부 본부장
수협은행 중부기업금융센터 센터장
수상
바다의 날 대통령 표창 (2008)
제2건국위원회 신지식 금융인 (2000)
약력
법무법인(유) 세종 파트너 변호사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 ESG위원회 위원장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투자심사소위원회 외부위원
서울대학교 ESG위원회 위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체투자심의위원회 외부위원
고용노동부 고용산재보험기금 리스크관리위원회 위원
법률신문 “사내변호사 대상 대한민국 로펌 평가 – ESG 분야” 최고변호사 선정 (202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부 졸업
약력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외이사 및 ESG위원회 위원장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하나금융지주 부사장
씨티그룹
한국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주) 부사장
약력
CJ AI Center, 상무 (경영리더, VP of AI & ML Research)
UN-affiliated 비영리 단체Mtree 이사
Impactive AI 이사
삼성전자 Big Data Center, Big Data 분석그룹 그룹장
영업/마케팅/제조/구매/SCM/e-commerce/제품/서비스/고객경험/품질 등 다양한 분야의 본사 및 전법인 대상 데이터 사이언스 과제 총괄 및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 담당/교육 신설
Bank of America Merrill Lynch/Sendence, Chief Scientist & VP of Data Science
뉴욕 마케팅, HR, 광고 기업에서 Chief Data Scientist 역임
Harvard University, Ph.D.
세계적인 커뮤니케이션 회사, 플레시먼힐러드에서 20 여년 간, 비지니스에 직접적 임팩트를 주는 이슈 관리, 정부정책, 주주관계 등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일해왔다. 전략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시의 두번째 큰 공기업 서울시설공단 문화체육본부장에 선입되었고, 괄목할만한 경영성과를 인정받아, 경영본부장을 거쳐, 서울시 공기업 최초의 여성 사장인, 이사장에 임명되어, 서울시에서 총 6년간 근무하였다.
임기 중 장충체육관의 성공적인 리브랜딩, 고척스카이돔 성공적인 운영, 공공자전거 따릉이 서비스 론칭 등 많은 사업을 성공시키고, 유연한 기업문화와 선도적인 인권경영을 실천하여 청렴도를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경영평가에서 최우수등급을 받았다.
글로벌 기업과 공공기관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기업 한국수력원자력 사외이사를 담당했었고, 현재는 풀무원 사외이사로 기여하면서, ESG 위원과 전략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국내외 전략과 상황을 지원하고 경영관리 하고있다.
약력
풀무원 사외이사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서울시 공기업 최초 여성 기관장)
플레시먼힐러드 부사장
차의과학대 글로벌경영 MBA 졸업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센터 및 무선 사업부에서 12년 간,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삼성전자의 주요 성장기에 다양한 Flagship Model의 사업화를 통해 국내 산업 성장을 주도하였습니다.
SK 텔레콤에서 10년간 실감 미디어 기술 및 사업을 주도하고, 5G 서비스 및 사업을 이끌며 Oculus 도입, Microsoft Cloud Game 사업화, Ifland 서비스 등 AR/VR, Metaverse 기술 개발 및 신사업을 이끌었습니다.
슈퍼랩스를 설립 후, 생성 AI 서비스 및 버추얼 휴먼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현재는 AI, Metaverse 스타트업을 자문을 맡으며 IT 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약력
Vivity AI, Alchera Advisor
Super Labs (슈퍼랩스) Founder & CEO
SK 텔레콤 부사장, Metaverse 컴퍼니 장
SK 텔레콤 5GX 서비스 사업단장
가상증강산업협회 부회장 역임
SK 텔레콤 ICT 기술센터 Media Labs 장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Software 개발 책임연구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 선임 연구원
출판편집인. 이야기장수 대표. 2007년부터 문학동네에서 편집일을 시작했고, 김이나의 <김이나의 작사법>,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김훈의 <라면을 끓이며>, 하정우의 <걷는 사람, 하정우> 등의 책을 만들었다. 2022년 문학동네 임프린트 이야기장수를 시작했다. 이슬아의 <가녀장의 시대>, 박미옥의 <형사 박미옥>, 정은혜의 <은혜씨의 포옹> 등의 책을 기획, 편집했다. 저서로 <에세이 만드는 법>(유유)가 있다.
약력
영화감독, 작가
비영리스타트업 코다코리아 대표
Netherlands Film Academy, Amsterdam University of the Arts, Master of Film 석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학사
출판물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 창비, 2023.02
『당신을 이어 말한다』, 동아시아, 2021.05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어서』, 문학동네, 2020.08
영화
〈기억의 전쟁〉, 2018, 79min, Documentary – 연출/제작총괄/편집
〈반짝이는 박수 소리〉, 2014, 80min, Documentary – 연출/제작/편
집
약력
마음AI CEO실 전무
전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부 인공지능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박사
프로젝트
LLM(Large Language Model) TF 총괄 본부장
NIPA 중소기업 클라우드서비스 보급/확산 사업_초거대 인공지능 사업, 과제책임자
풀무원 기업용 GPT 개발, 과제책임자
NIA 민간의 첨단 초거대 인공지능 활용지원 사업, 과제책임자
포스코ICT 스마트팩토리 과제, 기술총괄
약력
MIT EECS / CSAIL 박사
KT AI2XL 연구소장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AI-Data분과 위원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겸직교수
NAVER Clova AI 리더
방송
2023 KBS1 이슈 픽 쌤과함께, ‘챗GPT가 불러온 초거대 AI 열풍’
2022 EBS 비즈니스 리뷰 ‘지금 당신 옆에 AI가 있다’
2021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우리 아들 딸이 사는 딴 세상, 메타버스’
약력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미국 M.I.T. 포닥
일본 이화학연구소 (RIKEN) 연구원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조교수
미국 보스턴 대학교 부교수
독일 막스플랭크 뇌과학 연구소 박사
저서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
『메타버스 사피엔스』
『김대식의 빅퀘스천』 외 다수
저자는 수십 년간 전 세계를 누빈 여행가로서, 또 그 여행을 통해 축적된 경험과 지식과 고민과 통찰의 콘텐츠를 전하는 강연자로서 맹활약해왔다. 문학, 역사, 철학에 여행의 여(旅)를 더하여 ‘여문사철(旅文史哲)’ 오감(五感)인문여행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고, 그렇게 구성된 유기적인 이야기보따리를 ‘왑스(WAVS, Web+Audio+Video+Story)’라는 입체적인 전달 방식에 실어, 정보와 감상을 화학적으로 결합한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Entertainment) 강연콘서트를 완성했다. 이런 그의 독창적이면서 유익하고 재미있는 강연은 발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국내 굴지의 기업체에서부터 정부 및 지역의 여러 기관과 단체, 대학교, 방송 등 다양한 곳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오감을 자극하는 인문여행 콘서트로 자리매김했다.
11년간 최고투자책임자(CIO)로 근무했던 인피니티투자자문을 그만두고, 2021년 6월 체슬리투자자문(주)를 설립했다. 피터 린치의 마젤란 펀드를 벤치마킹하며 ‘위대한 기업’을, 신뢰와 공익을 중시하며 ‘존경받는 기업’을, ‘고객과 직원이 함께 부자 되는 기업’을 꿈꾸고 있다. 1994년 경희대를 졸업하고 미국 덴버대학교(University of Denver)에서 재무학석사(MSF)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주식운용팀을 시작으로 KTB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제일저축은행, 인피니티투자자문 등을 거치며 국내 주식, 해외 주식, 국내 채권 및 파생 상품 등을 운용했다. 2017년 12월 우정사업부가 금융 기관에게 수여하는 최고의 영예인 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저서로는 『투자의 본질』 『세 번째 위기, 세 번째 기회』(공저) 『변화와 생존』(공저) 등이 있다.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에서 애널리스트로 일하고 있다. 리츠와 부동산 시장 그리고 건설회사를 분석한다. GS건설을 다녔고, KBS 〈최경영의 경제쇼〉에서 ‘이광수의 부동산 이야기’라는 코너를 진행 중이다. 수차례 베스트 애널리스트로 선정되었으며 2019년에는 블랙 스톤과 로이터통신이 소유한 글로벌 리서치 기관 Refinitiv에서 수여하는 ‘Analyst Awards 아시아 최고 애널리스트(Overall Top Stock Picker)’를 수상했다. 투자자를 위해 좌고우면하는 의견이 아닌 근거 있고 선명한 리서치를 하려 노력한다. 저서로 『흔들리지 않는 부동산투자의 법칙』, 『서울 부동산 경험치 못한 위기가 온다』가 있다.
박 변호사는 1992년 변호사 업무를 시작하여 1999년 영국 외무성의 Chevening Scholarship을 받아 런던정경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 LL.M.(국제금융법 전공)을 취득하고, 영국 로펌인 Richards Butler의 런던 본사와 홍콩지사에서 약 1년간 근무했다. 한국으로 귀국한 후 주로 다양한 금융 및 기업 거래에 대한 자문을 수행해 왔다.
박 변호사는 2007년부터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컴플라이언스에 관한 자문 업무를 시작하였고, 그 후 FSFE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오픈소스법센터장을 역임했다. 2016년부터는 메인넷 블록체인에서부터 가상자산공개(ICO), 토큰증권공모(STO), 탈중앙화금융(DeFi), 대체불가능토큰(NFT), 탈중앙자율조직(DAO)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블록체인 기술 및 가상자산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자문을 하면서 암호 자산 관련 제반 이슈, 신규 법령 및 규제 샌드박스를 주제로 한 수많은 컨퍼런스에 발표자와 패널로 참가할 뿐만 아니라 가상자산업 전반에 관한 법제도 수립 TF에도 적극 관여하고 있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주기적으로 개최된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블록체인 및 암호자산 컨퍼런스’를 이끌었다. 박 변호사는 블록체인 분야에서 다수의 기업 및 정부를 대상으로 수행한 광범위한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 『크립토사피엔스와 변화하는 세상의 질서』(세종저석, 2023)를 집필했다.
박 변호사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제18기 사법연수원을 수료했고, 2013년 11월 법무법인(유한) 태평양에 합류했다.
하나대투증권 부사장과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 등을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자신만의 ‘주가예고지표’를 바탕으로 지난 9·11테러 직전의 주가 폭락과 그 후의 반등, 2004년 5월의 주가 하락과 2005년 주가 상승 등을 맞춰 일약 ‘족집게’ 애널리스트로 떠올랐다. 2008년, 2020년, 2022년의 경제 위기를 연이어 맞추며 개인투자자를 위한 거시경제 멘토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5년 연속 <매경이코노미>, <한경비즈니스>, <서울경제 신문>, <조선일보 & FN가이드>, <헤럴드경제> 등 주요 언론사 베스트 애널리스트에 선정된 바 있으며, 지상파 방송과 유튜브 등 각종 미디어를 통해 어렵고 복잡한 경제이론과 시장의 상황을 자신만의 철학으로 쉽고 명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금리와 환율 알고 갑시다』,『BIG WAVE 거대한 변화』,『더 찬스』,『경제지표 정독법』 등이 있다.
『BIG WAVE 거대한 변화』는 경제에 문외한 사람도 경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경기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경기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경제지표를 제시한다. 김영익 교수가 이 책에서 다룬 경기 관련 데이터는 매월 혹은 매 분기마다 발표되는데, 데이터를 계속 업데이트한다면 스스로 경기를 판단함으로써 미래의 변화를 먼저 직시하고 시대에 당하지 않는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0여 년간 하나증권의 건설/부동산 애널리스트로 일하며 부동산 관련 다양한 조사와 분석을 해왔다. <한국경제신문> 베스트 애널리스트 3년 연속 건설 부문 1위, <매일경제신문> 9년 연속 베스트 애널리스트로 선정되어 현재 부동산 전문가들의 전문가로 통한다. 대학에서 건축학을, 대학원에서 부동산학을 전공하여 쌓은 탄탄한 이론과 더불어 주택/건설시장의 현업 경험을 토대로 금융시장과 연계성 높은 리포트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정부와 국회, 민간의 다양한 자문위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현재 콘텐츠 크리에이터, 스타트업 대표, 작가로서 바쁘게 활동하고 있다. 유튜브에 <채상욱 부동산 심부름센터>, 네이버에 <아파트 가치&가격 연구소> 채널을 운영하며 부동산 현장을 직접 발로 뛰어 구독자들에게 생생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주식시장에서 아파트라는 상품을 분석하는 계량적 방법론을 시장에 처음 제공했듯이, 10여년에 걸쳐 아파트 가치평가 방법을 연구해온 결과를 이 책에 담았다. 금융상품화된 아파트의 가격 평가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저서로는 『부동산 공부는 처음이라』,『대한민국 부동산 지난 10년, 앞으로 10년』,『뉴스테이 시대, 사야 할 집 팔아야 할 집』,『돈 되는 아파트 돈 안 되는 아파트』,『오를 지역만 짚어주는 부동산 투자 전략』,『다시 부동산을 생각한다』 등이 있다.
실리콘밸리에서 본사를 둔 미디어 플랫폼 더밀크 창업자 및 CEO. 실리콘밸리 혁신 소식을 한국과 미국에 전달하고 있다. 2023년까지 11년째 CES를 취재, 분석해 왔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스탠퍼드대학교 아태연구소 방문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매일경제> 실리콘밸리 특파원과 산업부 기자를 역임했으며 <문화일보>, <전자신문>에서도 기자 생활을 했다. 주요 저서로 『파괴자들』,『네이버 공화국』 등이 있다.
이 책의 저자인 히스 형제는 ‘오랜 기간 살아남는 메시지’의 특징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6가지 스토리텔링의 원칙 –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신뢰성, 감성, 스토리’ 중, 단연 비즈니스 상황에 가장 필요한 원칙은 구체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다양한 상황에서 ‘지식의 저주’를 깨뜨릴 수 있는 방법은 ‘구체적인 메시지’임을 소개하며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 도서를 통해 모든 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공통 언어’란 결국 구체적인 것임을 기억하여 더 원활한 협업 환경을 가꿀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이 책의 저자 ‘아사다 스구루’는 한 장 보고서로 유명한 ‘토요타’ 출신으로, 본인이 겪었던 보고문화와 노하우를 책을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 도서의 부제목인 ‘모든 지식을 한 줄로 압축하고 설명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은, 발췌독 대상인 PART 2를 읽는다면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아는 것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한 좋은 가이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앎이란 설명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는 것이다”라는 저자의 말처럼, 본 도서를 통해 비즈니스 상황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스킬을 익힐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백승권 저자의 ‘보고서의 법칙’은 부제목이 ‘일주일 내로 보고서를 써야 하는 당신에게’인 만큼, 직장인들에게 필요한 실용적인 보고서 작성 기법을 소개하는 저서입니다.
그중에서도 2장은 보고서의 본질인 “누구를 위해 어떤 순서로 무슨 내용”을 담아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놓은 장으로, 실무에 가장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여 발췌독 대상 파트로 선정되었습니다.
책에 담긴 다양한 사례와 예시를 통해 실무에서 보고문서 작성 시 겪고있던 어려움을 해결하여 원활한 보고문서 작성 능력을 함양할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약력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 / 상무
한국공학한림원 기술경영정책분과 일반회원 / 인재양성위원회 위원
AI미래포럼 공동의장단
한글과컴퓨터 CTO / 전무
한컴인터프리 CEO
수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2021)
한국IT서비스학회 공로기업인상(2020)
대통령 표창(2019)